쑥섬, 아오시마, 아이노시마 등의 공통점은 고양이섬
우리나라에 ‘고양이섬’ 생긴다? 사람보다 고양이 많은 ‘쑥섬’
우리나라 최초 고양이섬 쑥섬과 일본인
동물보호단체 동물구조119는 최근 전남 고흥군 애도(쑥섬)에 올해 연말까지 고양이 섬을 조성할 계획을 밝혔다. 쑥섬은 사람 20여명과 길고양이 30~40마리가 살고 있는 이름 없는 작은 섬이었다. 2016년 처음 개방된 뒤 동물구조 활동가의 발길이 닿았고 이곳을 고양이 섬으로 만들자는 주민들의 의견이 모였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4/265427/
일제강점기 때 어머니는 고향인 고흥군 나로도라는 섬에서 자랐다. 나로도 사람들은 같은 군내 섬인 쑥섬과 친하다. 나 역시도 ‘쑥섬(애도)’는 익숙한 이름이다.
일본강점기 때 나로도에도 일본 사람이 많이 살았다. 당시 일본 사람들은 집집이 고양이를 키웠는데, 밥을 줄 때 보면 딱 시장기 가실 만큼만 주었다고 한다. 밥을 많이 주면 배설량이 많다는 이유였다. 또 고양이가 새끼를 낳으면 한 마리만 남긴 채 나머지는 종이나 상자에 싸서 바다에 버렸단다. 그랬던 일본 사람들이 ‘아오시마’나 ‘아이노시마’ 같은 고양이 섬을 갖고 있는 게 아이러니 하다. 또 고양이 인형은 얼마나 많이 파는가. 모르긴 해도 관광 수입을 염두에 두고 옛날에는 학대하였던 고양이들을 끌어들인 게 아닌가 싶다. 고양이를 상품화하기 위해 섬을 만들고, 전설을 만들고, 인형을 만들고---. 물론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고흥군 쑥섬이 고양이섬이 된다니 더욱 아이러니 한 일이다.
본래 섬이야 생선이 풍요로우니 고양이가 많을 수밖에 없다.
[홍보 전용카페]-온라인 홍보 마케팅 노하우 공유하기
https://cafe.naver.com/free59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