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기 시집 '무명 시인'…71세 아들이 시를 쓰고 93세 어머니가 그림을 그렸다
71세 아들이 시를 쓰고, 93세 어머니가 그림을 그렸다
시집‘무명시인’은 올해 93세인 어머니가 그린 그림을 넣어 엮은 시집이다. 시인의 어머니는 그림을 배우지 않았다. 두어 해 전 어느 날부터 TV 화면을 통해 보이는 장면이나 당신의 기억 속 장면 등을 색연필로 그리기 시작한 것이 수백 점이 되었다. 시인의 시도 그러하지만, 노모의 그림 또한 순수하고 맑고 깨끗하다.
안소휘 시인과 윤옥란 시인은 시인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시의 힘
멀리 남쪽에 사는 동무에게서 동백이 피었다, 매화가 피었다 소식이 오면 그때야 ‘봄이구나.’ 하다가 글동무의 시를 받으면 벌떡 일어나 눈밭에 혹 봄꽃이 피었을까 산길 헤매며 온 몸으로 봄을 찾아다니던 시절로 돌아갑니다.
시의 힘이겠지요? ‘시’의 구구절절에 감히 언급은 못 하겠습니다. 다만, 책상에 앉아 막연한 그리움만 읊은 것이 아니라 삶의 길 위에서 찾아낸 조각조각이고 한 올 한 올이라는 것을 알아챘기에 경건한 노래로 귀하게 듣습니다.
꽃병 앞에 갈래머리 소녀를 그리시는 93세 어머니와 여전히 부끄럼타는 소년인 71세 아들 시인이 함께 만든, 이 시대의 귀감이 될 작은 책 한 권이 참 아름답습니다.
삭풍을 견딘 주목처럼
겨울이 더디 지나는 것 같아도 어느새 완연한 봄입니다. 삭풍도 의연하게 견디는 주목처럼, 절망의 순간에도 자신을 위로하듯 틈틈이 마음의 씨앗을 한 자 한 자 글로 옮겨 놓으며 힘든 시간을 묵묵히 견디시더니 드디어 꽃 피우듯 첫 시집을 내시게 되어 내 일보다 더 기쁨으로 축하의 박수를 보냅니다.
부끄럽다 하시며 멋쩍게 웃으시는 모습이 유난히 순수해 보입니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쉽게 할 수는 없는 일, 어렵게 걸어온 그 길을 잘 알기에 대단하다 말씀드립니다.
바탕에 긍정과 열정이 있고, 시인이 좋아하시는 라떼 향처럼 달달한 감성이 자리한 마음 밭에 어머니가 계시고 가족이 있고 사랑하는 자신이 있어 해낼 수 있었으리라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