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보도자료★★

여수 수필가, '동부수필' 창간호

7154 2015. 11. 27. 10:23

 

책 소개

 

동부수필문학회 12인의 수필들을 모은 수필집.

 

차례

 

동부수필 창간호에 부쳐·회장 엄정숙 4

 

회원수필

 

임병식

과골삼천 13

꽃씨의 꿈 17

모정무한 21

디딤돌 25

유년의 동화 30

 

엄정숙

타국의 거리에서 37

그 가을에 겪은 낭패 43

구두를 닦으며 47

봄은 꽃신을 신고 온다 52

목단꽃으로 피고 싶다 57

 

황동철

기대 반 두려움 반 65

모정 실은 하얀 막 버스 70

인간의 잔혹상 75

기차 떠난 후의 말 79

최소한의 자존심 84

 

송민석

가정방문과 통닭 91

가짜가 판치는 세상 96

김 교사와 초보 교장 99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 103

우리들의 부끄러운 자화상 107

 

곽경자

그녀가 사는 법 113

빈 지게 117

영등할매 121

4백 원의 사치 125

도시락 129

 

김권섭

135

황 혼 141

대만 관광 146

눈 물 151

설렘과 소피 155

 

이희순

꽃 중의 꽃 163

세상에 오소서 167

구월이 오면 171

워낭과 청려장 174

가을을 타다 178

 

양달막

185

또 하나의 고도 189

쥐 이야기 194

믿음과 불신 사이 198

마음의 고향 203

 

박주희

강아지야, 놀자 211

안개 스카프에 휘감기다 216

카오스, 그 신화적 세계 221

 

김수자

전라도 김치 227

돈 돈 돈 232

 

이연화

검정 고무신 239

참새와의 하루 242

 

박지선

왕 초보 249

할머니의 쑥떡 254

 

· 편집후기 260

· 회원주소록 262

 

동부 수필은

 

전남문학상, 한국문협작가상을 수상한 임병식 수필가의 주도하에 모인 동부수필문학회 필진 12인의 뜻을 모아 수필집을 발간했다. 소박한 수필들은 사소한 이야기라 더욱 공감을 자아낸다. 문학은 언제나 우리 안에 있다. 글은 낯선 것보다는 익숙한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익숙한 것 속에서 중요함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동부수필의 수필들은 모두 삶의 관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나름의 법칙을 찾아내고 있다.

 

우리가 생각 없이 내딛는 발자국 밑에도 우주가 있는 것이다. 중략. 지팡이조차 함부로 쿵쿵 내리찧지 않고 뜨거운 물도 함부로 좍좍 끼얹지를 않았다. 그러니 꽃을 대하는 태도는 어떠했을 것인가.

-임병식, ‘꽃씨의 꿈중에서

 

작은 일에도 자연의 이치가 있는 것이며 우리는 항상 관계에서 어떤 것을 배우게 된다. 살아온 날은 모두 배움이 되고 추억이 된다.

 

지나간 날은 모두가 아름답다.

 

삶의 행간들도 펼치다 보면 세상의 이치에 새삼 눈이 떠진다. 지나온 날을 돌이키며 추억에 잠겼다가 새삼 사랑과 감사가 가득했음을 느껴보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기도 한다. 지나고 보면 즐기지 못 할 일이 없고 웃음을 건넬 때도 많았음을 깨닫는다. 우리는 모두 서툰 존재들이다. 실수로부터 하나씩 배워나가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많은 것을 보고 느끼며 살 수 있는 것이다. 계절이 바뀐 것을 돌이킬 수 없듯이 지나가는 세월을 붙잡을 수도 없다. 지나간 날은 아름답게 묻어두고 앞으로의 시간을 미소로 맞이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본문 일부

 

이른 봄에 피는 꽃들은 한결같이 특징이 있다. 잎보다는 꽃이 먼저 얼굴을 내민다. 목련이 그렇고 매화가 그렇고 진달래가 그러하다. 개나리도 아직은 움이 트지 않았지만, 꽃을 먼저 터트릴 것이다.

나는 이것이 잘 살 것인가 못 살 것인가는 걱정하지 않는다. 생명력이 강하기 때문에 잘 살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환하게 꽃을 피우면 지나가는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는 궁금증이 더해진다. 이것에 비하여 노란 코스모스는 발아를 장담하지 못한다.

한겨울 꽃대궁에 매달린 바람에 얼었을 수도 있고 땅속 사정에 의해 지장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되도록 모두 살기를 바라고, 살아나서 꽃피울 다른 세상을 그려본다. 여린 순이 돋아나 마침내 터를 잡고 화사하게 피어난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그리고 그런 꽃은 피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을 기쁘게 하고 자기의 감춰둔 소망을 펼쳐 보일까.

나는 생명의 경이 앞에 늘 숙연해진다. 동물이건 식물이건 마찬가지이다.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는 숭고하기 때문이다. 그것들이 존재하는 것은 얼마나 의미 있는 것인가. 그리고 그 존재 자체로 얼마나 존중받아야 할 대상인가. 생각하면 그것들이 미치는 영향력은 실로 크다. 수많은 변화를 일으키며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꽃 앞에서 걸음을 멈추고 바라본다면 그 사람의 하루 일상에서 그만큼 시간을 할애한 것이며, 어느 벌, 나비가 꿀을 찾아왔다면 그들의 행보에 그만큼의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_임병식 꽃씨의 꿈중에서

 

 어두운 존재들이 밝은 존재들을 낳는다. 카오스를 이렇게 정의하면 나만의 오판일까, 아닐 것이다. 카오스를 발전이라고 보는 개념은 인도의 수많은 경전에서도 수많은 성자들의 저서에서도 철학자들의 어떤 논리에서도 정의되는 논리이다.

발전이 없다면 인간은 한낱 동물에 불과할 뿐, 배우고 학습하고 행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성숙과 고양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바, 개한민국의 개교법도 나름대로의 일리가 선다. 그런 개교법으로 달구어진 경쟁과 심리가 성이라는 카오스와 결합되면서 헐헐한 자리조차도 허용하지 않은 채 판사나 검사나 모두들 하품하면서 판결을 내리셨나, 판결은 늘 답답한 제 자리 걸음이기에 한 마디라도 해 보려는 것이다. 석궁에 맞으셔도 아무렇지도 않으시니 하는 말이다. 교단의 스승들도 사라진지 오래다. 성이라는 카오스를 개한민국에서 도대체 어찌 해석을 해야만 하나 답답하고 미칠 노릇, 개한민국이 대한민국으로 올바로 서려면 성이라는 카오스가 성범죄 천국이 되어서는 아니 될 터, 나의 카오스, 나의 성, 우리의 카오스 우리의 성, 카오스가 헐헐해져서, 어둠이 밝은 여명이 되듯, 새 생명이 태어나는 근원이 되기 위한 개한민국이 대한민국으로 거듭나는 과도기임을 이 시 대를 이 시대, 자라나는 세대의 새로운 신화가 되기를 다시 한 번 더 굳세게 믿어보는 , 하느님, 왜 카오스를 저희에게 내리셨나요?’

_박주희 카오스, 그 신화적 세계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