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전남 장흥 회진포구 선학동에서 태어나 강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목포 MBC 아나운서와 PD,보도제작국장을 지내는 등 근 반세기 객지로 떠돌다 다시 월출산 자락 강진달빛한옥마을로 귀향했다.
2011년 《한국수필》 신인상,《月刊文學》 시조부문 신인상, 2012년 국제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떠도는 섬」이 당선됐다.
고산문학대상 신인상, 시조시학 젊은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문학사편찬위원, 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 오늘의시조시인회의, 세계시조시인포럼, 율격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전남수필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시조집으로는 『받침 없는 편지』 『노을치마』가 있다.
차례
책을 펴내며 04
제1부 노을치마
숨 쉬는 돌 11
나 문득 새떼가 되어 15
고구마꽃의 역습 19
무위(無爲)를 생각하다 23
노을치마 27
마스크 32
제2부 다시, 노을치마
한 사나흘 새와 겨루다 38
다시, 노을치마 44
창백한 숲 48
파두 52
의병(義兵)은 살아있다 56
시문학지(詩文學誌), 시조를 담다 60
제3부 받침 없는 편지
받침 없는 편지 66
다시 부르는 노래, 울 어머니 하얀 꽃 72
아들의 선물 77
아내의 눈물 85
고부 싸움 92
아버지의 그늘 96
아빠, 내 말 들려? 101
제4부 워낭소리 신작로에서 들리고
어떤 기억 108
워낭소리 신작로에서 들리고 112
밤길 115
추억은 소고삐를 잡고 119
터, 그 쓸쓸함에 대하여 124
어느 주례사 128
제5부 무지개는 둥그렇게 뜬다
다양한 빛깔들이 한 송이 꽃처럼
모여 사는 마을 135
무지개는 둥그렇게 뜬다 139
입암산 142
선물 149
바람 153
제6부 방송 34년, 쉼 없이 쉼표 같이
방송 34년, 그 꿈의 초입에서 만난 인연 161
올림픽에 출전하다 166
부용산 봉우리엔 하늘만 푸르러 푸르러 172
사라진 것들에 대한 그리움의 노래,
부용산 177
생과 사를 초월하는 달관으로 생을
녹여놓은 사람들 181
순수와 희망의 다순구미 사람들 184
우리 함께, 서유럽을 가다 187
유달산 방송국 190
파도 파도, 파도 섬 가거도 194
30시간의 전국 일주 기차여행 197
제7부 거기 길이 있었네
다산, 주모를 만나다 202
월출산 마애불을 찾아서 212
백제여, 백제의 혼이여,
월남사지 삼층석탑이여 222
완향(玩香)의 미(美)를 찾아서 230
네카강변에서 세기의 사랑을 만나다 239
중세로의 시간 여행, 길 위에서 길을 묻다 261
적도(赤道)를 넘어 그 낯선 풍경 속으로 311
출판사 서평
행간에서 들리는 소리
좀 천천히 가자, 좀 천천히 가자
저자는 아나운서 출신의 수필가이자 시조시인이다.
이번 수필집 「문득 새떼가 되어」를 읽다 보면, 행간에서 ‘좀 천천히 가자, 좀 천천히 가자’ 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수필 안에서 바쁜 일상이 무장해제가 된다는 말이다. 이는 자연과 휴머니티한 서정이 어우러지기 때문일 것이다. 24시간 움직이는 도시적 일상을 벗어나, 잔정 같은 사유가 있는 저자의 수필 안에서 진정한 삶의 질을 발견할 수도 있다. 저자의 사유를 공유함으로써 팍팍하고 숨 가쁘게 살아가는 영육을 잠시 뉘어 쉬게 하는 공간이 「문득 새떼가 되어」가 아닌가 싶다.
시골에서 태어나고 자란 문인들에게는 자연친화적 정서가 강하다. 이런 정서가 밑절미가 되어 그려지는 저자의 수필들은, 땡볕을 가려주는 나무 아래 누워 있을 때 이마와 머리칼을 아찔하게 스치고 지나는 바람 같기도 하다. 수필의 이러한 장점이 독서의 백미로 내세우고픈 이유이기도 하다.
받침 없는 편지
무엇보다 저자는 진솔하며 겸손하게 수필을 그려간다.
원로 수필가 임병식 선생은 진솔함과 겸손함을 당신의 수필 철학으로 삼는다. 선생은“붓을 잡을 때는 옷깃을 여미듯 겸허한 자세로 임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고 하였다.
이어지는 작품은 어머니를 소재로 한 저자의 시조이다. 현재 5~60대의 유년 시절, 애옥살이를 꾸려가며 자식들을 위해 영혼조차 내어놓은 우리네 어머니의 자화상을 솔직하고 겸손하게 작품으로 승화한 것이다.
받침 없는 편지
때 절은 일바지에 헝클어진 덩덕새머리 오로지 팔십 평생 까막눈으로 사시다가
지아비 떠나보내고 한글학교 입학했네
하루는 막내딸집 아파트에 들렀다가 잠긴 문에 삐뚤빼뚤 쪽지 한 장 남기셨어
‘박일심 하머이 아다 가다’ 그렇게 돌아섰네
십리길 강진 장에 푸성귀 팔러나가 해질 무렵 몇 다발을 가래떡과 바꾸신 후
두 팔을 휘저으시며 걷고 걷던 신작로 길
어머니가 떠나신지 십 수 년이 지나갔네 단 한 번만이라도 뵐 수만 있다면
맘 놓고 울 수만 있다면, 그럴 수만 있다면
눈물의 장강(長江) 속으로 편지를 쓰네 받침 없는 편지 한 줄 어머니께 띄우네
참으로 먹먹하네요, ‘어마 보고 시어요, 우고 시어요’.
「문득 새떼가 되어」에 실린 작품 모두 수필의 정통적인 서정의 멋을 아낌없이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 가운데 위 시를 수필로 풀어 쓴 ‘받침 없는 편지’가 오랜 여운을 준다. 물론 어머니의 지난(至難)하였던 삶을 다루고 있지만 어머니를 묘사하는 데 꾸밈없이 척박한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어머니의 존재 가치를 더욱 숭고하게 한다.
논밭에서 일하던 차림 그대로 도시락을 들고 학교로 찾아온 어머니, 그 어머니를 부끄럽게 생각하였던 어린 시절의 저자였다. 팔십 평생을 까막눈으로 살았던 어머니가 노인학교에서 한글을 깨우친 이후 여동생 집을 찾아갔는데 아무도 없자 아파트 현관문에 붙였던 ‘박일심 하머이 아다 가다’란 쪽지를 어머니의 가장 소중한 유산으로 간직한다는 작품 ‘받침 없는 편지’에서, 자신의 어머니를 떠올리지 않을 독자는 없을 듯하다. 그리고 눈시울이 갈쌍해질 것이다.
저자에게 ‘박일심 하머이 아다 가다’는 영원한 한 줄의 시로 남아있는 듯하다.
지역의 문화, 역사 등 재미와 감동이 어우러지다
1부 ‘숨 쉬는 돌’과 2부 ‘다시, 노을치마’는 작가가 일상의 평범한 이야기들을 남다른 시선으로 들여다보고 자연스럽게 풀어낸 글들이며, 3부 ‘받침 없는 편지’는 가족의 아주 특별한 이야기, 4부와 5부에서는 기억과 추억의 이야기들을 소환하고 있다. 6부 ‘방송 34년, 쉼 없이 쉼표 같이’는 문화방송 사보(社報)와 MBC 가이드, 아나운서 창간호에 실렸던 글들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7부 ‘거기 길이 있었네’는 발로 뛴 역사기행이다.
「문득 새떼가 되어」의 절차탁마 엄선한 글들은 물이 흐르듯 문장이 자연스럽고, 거기에 행간을 넘나드는 감동적인 스토리와 선명한 이미지까지 더해져 작품을 빛내고 있다. 지역의 문화, 역사 등 재미와 감동이 어우러진 작품집은, 전국에 지역을 알리고 지역 문학의 위상 제고에도 한 몫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본문 일부
밤길과 동심, 왜일까? 낮에는 학교에 있거나 집에서 농사일을 도우며 고생한 기억들이 대부분이라 떠올리고 싶지 않아서일까. 아니면 그때 이미 밤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던 탓일까.
어쨌든 시골에서 밤샘하며 보냈던 일들은 추억이라는 이름의 책갈피에 오래도록 묻어있다. 빛이 바랠수록 더 새록새록 떠오른다. 듣는 사람은 식상할지 모르겠으나 그 경험을 가지고 있는 당사자는 옛 생각에 가슴이 촉촉해진다.
봄가을보다는 여름이나 겨울밤이 더 그리움으로 다가온다. 별이 소낙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여름밤이나 하얗게 눈이 쌓인 산골 마을의 겨울을 상상해 보라. 이야기가 있을 수밖에 없다. 마당 한쪽에 깔아놓은 멍석에 누워 밤새워 까만 하늘의 별을 헤던 일. 거기엔 부모님이, 누이와 동생들이, 동무들이 있었다.
주고받는 대화만 있었다면 그 순간들이 희미하게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이야기와 함께 또 다른 맛들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모깃불이 타는 향긋한 풀냄새, 삶은 옥수수의 고소하고 달착지근한 맛, 햇감자의 담백한 맛까지. 시각에 후각과 미각까지 곁들여졌기 때문에 그 기억의 편린들이 더 아름답고 눈물 나도록 그립고 또 긴 세월 동안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지 않을까.
밤늦게까지 시험공부를 하다 보면 배는 출출해지고 주변은 어둠으로 깊이 잠이 든다. 그럴 때쯤엔 서리라는 뿌리치기 힘든 유혹이 스멀스멀 손길을 뻗어온다. 어떤 이들은 한여름 밤의 수박 서리를 무용담처럼 얘기하지만 내가 사는 산간벽촌에서의 수박은 구경하기도 힘든 먼 나라 얘기였다. 복숭아 서리를 해본 게 고작(?)이다. 친구네 집 뒤쪽 언덕 위에 큰 복숭아나무가 있었는데, 도둑고양이가 되어 살금살금 다가가 복숭아를 따 먹던 일, 두근거리는 가슴을 밀쳐두고 한입 가득 복숭아를 물었을 때 입안에 퍼지는 그 과즙의 특유한 맛. 요즘의 복숭아에서는 결코 느낄 수 없는 그런 맛이었다.
보름달이 뜨는 밤이면 옆 동네 신풍리 마을 아이들과 전쟁놀이를 흉내 냈던 일도 기억에서 떠나질 않는다. 서로 원수진 일도 없었고, 서로의 땅을 뺏는다고 내 땅이 되는 것도 아닌데, 죽기 살기 돌팔매 싸움질로 밤을 지새웠는지 알 수가 없다. 밭둑을 오르고 논둑을 달리고, 언덕을 기어올라 통쾌한 기습공격으로 그들을 우리의 영역에서 몰아내며 고래고래 질러댔던 함성들이 귓전을 맴돈다.
_‘밤길’ 중에서
'음악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접, 그 인큐버스 여인들 (0) | 2020.06.10 |
---|---|
귀접을 다룬 임지인 환상 로멘스 장편소설 '인큐버스의 여인들' (0) | 2020.06.02 |
경남대학교 한판암 교수 수필집 '파랑새가 머문 자국' (0) | 2020.06.02 |
이기순 에세이집 '낭산 이야기' 마지막 선물 (0) | 2020.04.10 |
김영기 시집 '무명 시인'…71세 아들이 시를 쓰고 93세 어머니가 그림을 그렸다 (0) | 2020.04.08 |